한국사 29

한국사 조선시대 선조~효종 요점정리

1. 붕당의 형성- 선조 때 사림들은 척신 정치의 청산 문제와 이조 전랑의 임명을 둘러싸고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었다.- 이이와 성혼의 문인을 중심으로 형성된 서인은 척신 정치의 잔재 청산에 소극적이고 이조 전랑직과 관련하여 심의겸을 지지하였다.- 조식과 이황의 문인을 중심으로 형성된 동인은 척신 정치의 잔재 청산에 적극적이고 이조 전랑직과 관련하여 김효원을 지지하였다.- 정여립 모반 사건을 빌미로 서인들이 주도한 기축옥사에서 동인들이 피해를 받았다.- 선조 때 서인 정철이 세자 책봉을 건의한 건저의 사건으로 서인은 정치적 입지가 약화되었다.- 선조 때 동인은 기축옥사를 주도한 정철의 처벌 문제로 온건파인 남인과 강경파인 북인으로 나뉘게 되었다. 2. 임진왜란- 왜군이 부산포에 침입하자 관군은 부산진성과 ..

한국사 2025.02.15

한국사 조선시대 연산군~명종 요점정리

사림의 성장과 사화 발생연산군- 무오사화: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이 발미가 되어 발생- 갑자사화: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 사사 사건이 발미가 되어 발생중종- 중종반정: 왕권 약화 > 훈구파 집권 > 훈구파 견제를 위해 사림 등용(조광조)- 조광조의 개혁 정치: 소학의 보급 주장: 공납의 개선 주장: 소격서 혁파: 현량과 실시: 훈구파의 위훈 삭제- 기묘사화: 위훈 삭제에 대한 반발 > 주초위왕 나뭇잎 발견 > 조광조 등 제거명종- 을사사화: 대윤과 소윤의 권력 다툼으로 발생- 임꺽정의 난: 경기도와 함경도 일대에서 백중 출신인 임꺽정이 일으킨 난[참고 자료]https://www.cosmoshistory.com/main.html

한국사 2025.02.15

한국사 조선시대 태조~성종 요점정리

1. 태조 이성계와 정도전태조 이성계- 조선 왕조 개국- 한양 천도- 경복궁 준공삼봉 정도전- 조선 건국에 주도적인 역할- 한양 도성의 기본 계획 수립- 재상 중심의 정치 주상 > 조선경국전, 경제문감- 불교의 폐단 비판 > 불씨잡변- 명과의 외교 마찰로 요동 정벌 준비 > 왕자의 난으로 좌절 2. 태종 이방원정치- 두 차례의 왕자의 난을 통해서 즉위- 사병 혁파 > 군사권 강화- 문하부 낭사 > 사간원으로 독립- 6조 직계제 실시외교- 명과의 외교 관계 회복 > 사대 외교 전개- 경원과 경성에 무역소 설치 > 여진족 회유경제- 조세 징수를 위해 양전 사업 실시- 16세 이상의 남자에게 호패 발급사회- 사원의 토지 몰수 > 국가에 귀속- 백성의 억울함을 풀어주고자 신문고 설치문화- 주자소에서 계미자 주조..

한국사 2025.02.15

한국사 고려시대 문화 요점정리

1. 교육 기관관학- 국자감(성종): 개경에 설치된 고려의 최고 교육 기관- 향교(성종): 지방 관리나 서민의 자제 입학사학- 9재 학당: 해동 공자라고 불린 최충이 설립, 문헌공도라고 불림- 사학 12도: 문헌공도를 포함한 사학 12무리 번성관학 진흥책- 서적포(숙종): 서적의 보관 및 간행- 7재(예종): 사학에 대응하고자 국자감에 전문 강좌 7재 개설- 양현고(예종): 장학 기금 마련을 위해 설치- 청연각/보문각(예종): 도서관 겸 학문 연구소- 경사 6학 정비(인종): 경사 6학을 중심으로 국자감 교육 제도 정비 - 충선왕: 국자감을 성균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.- 공민왕: 성균관을 개편하였다. (이색을 성균관 대사성에 임명, 기술학부를 폐지하고 순수 유교 교육 시행) 2. 성리학- 원 간섭기에 ..

한국사 2025.02.15

한국사 고려시대 사회 요점정리

1. 신분 제도- 고려의 신분은 귀족, 중류층, 양민, 천민으로 구분되었다.- 향리는 지방의 실질적인 지배 세력으로 무신정권 집권 이후에 중앙 정계 진출이 많아졌다.- 양민의 대다수는 백정으로 조세, 공납, 역의 의무가 있었다.- 향, 부곡, 소의 거주민은 신분상 양민이지만, 이주 제한과 가중한 세금 부담 등의 차별이 있었다.- 고려의 천민은 대부분 노비였고 재산으로 취급되었다. 2. 사회 제도- 태조 때 빈민에게 양식이나 종자 등을 빌려주는 흑창을 설치하였고, 성종 때 의창으로 변경되었다.- 물가 조절을 위해서 상평창을 설치하였다.- 병자에게 의약품을 제공하는 혜민국을 두었다.- 환자 치료와 빈민 구제를 위해 수도 개경에 동서대비원을 두었다.- 상설 기구로 기금을 모아 기금의 이자로 빈민을 구제하는 제..

한국사 2025.02.15

한국사 고려시대 경제 요점정리

1. 수취 제도- 토지 대장인 양안과 호구 장부인 호적을 토대로 조세, 공납, 역을 징수하였다.- 조세는 토지 비옥도를 3등급으로 나누어 생산량의 1/10를 거두었다.- 공납의 정류로는 지방의 토산물을 매년 일정하게 거두는 상공과 필요할 때마다 거두는 별공이 있었다.- 역은 호적을 기준으로 16~59세의 정남에게 부과되었다. 2. 토지 제도- 역분전(태조): 후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지급하였다. - 전시과 제도: 시정 전시과(경종), 개정 전시과(목종), 경정 전시과(문종): 관료에게 전지와 시지를 과전으로 지급하였다.: 수조권만 지급하였고, 원칙적으로는 세습이 불가능하였다. - 공음전(문종): 5품 이상의 관리에게 세습이 가능한 공음전을 지급하였다. - 과전법(공양왕): 신진 관료..

한국사 2025.02.14

한국사 고려시대 통치 제도 요점정리

1. 중앙 통치 조직중서문하성- 최고 관서- 문하시중이 국정 총괄- 2품 이상을 재신이라고 하며,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에 참여상서성- 6부를 통해 정책 집행중추원- 추밀: 군사 기밀을 담당- 승선: 왕명을 담당삼사- 화폐와 곡식의 출납에 대한 회계 담당어사대- 관리의 비리 감찰중방- 무신 최고의 회의 기구대간- 낭사(충추문하성) + 어사대- 서경: 모든 관리의 임명에 대간의 서명을 거침- 간쟁: 왕의 과실을 비판하여 시정을 건의- 봉박: 왕의 잘못된 명령을 돌려보냄도병마사- 국방 문제를 담당하는 임시 기구- 후기에 도평의사사로 개편되면서 최고 정무 기구로 발전- 중서문하성의 재신과 중추원의 추밀이 함께 모여 중대사 결정식목도감- 국내 정치에 관한 법의 제정이나 각종 시행 규정을 다루는 임시 기구- 중서문하..

한국사 2025.02.14

한국사 고려시대 공민왕~공양왕 요점정리

1. 공민왕반원 자주 정책- 기철을 비롯한 친원 세력 제거-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- 쌍성총관부 공격 > 철령 이북의 땅 수복- 변발 등의 몽골풍 금지- 격하된 관제 복구(첨의부 4사 > 2성 6부)홍건적의 침입- 1차 침입: 서경 함락- 2차 침입: 개경 함락 > 공민왕, 안동으로 피난왕권 강화 정책- 인사 행정을 담당하던 정방 혁파- 성균관 개편 > 유교 교육 강화- 신진 사대부 등용 > 권문세족 견제- 신돈 등용 > 전민변정도감 설치 2. 신진사대부와 신흥무인세력- 신진사대부: 정몽주, 정도전 등은 성리학을 이념적 기반으로 삼았다.- 신흥무인세력: 최영, 이성계 등은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하며 성장하였다. 3.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- 공민왕은 홍건적의 침입 때, 노국 공주와 함께 안동으로 피난하였다.-..

한국사 2025.02.14

한국사 고려시대 원 간섭기 요점정리

1. 원 간섭기- 고려는 몽골에 항복한 이후에 원 황실과 혼인 관계를 맺어 부마국이 되었다.- 고려 왕실의 호칭이 격하되어 폐하는 전하로, 태자는 세자로 불렀다.- 2성 6부의 중앙 관제는 2성은 첨의부로, 6부 4사로 격하되었다.-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기 위한 감찰관으로 다루가치가 파견되었다.- 일본 정벌을 위해 설치한 정동행성을 일본 원정 이후에도 그대로 두어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였다.- 결혼도감을 통해서 어린 여성들이 공녀로 징발되어 원으로 보내졌다.- 사냥매의 사육을 담당하는 관청으로 응방이 설치되었다.- 철령 이북에 쌍성총관부, 서경에 동녕부, 제주도에 탐라총관부를 설치하였다. 2. 사회 모습- 지배층을 중심으로 변발과 호복이 유행하였다.- 여자들이 결혼할 때에 연지곤지를 칠하고 족두리를 썼다...

한국사 2025.02.14

한국사 고려시대 무신정권 요점정리

1. 초기 무신정권- 정중부, 이의방 등이 일으킨 무신정변으로 인해 의종이 왕위에서 쫓겨나 거제도로 추방되었다.- 초기 무신들은 중방을 최고 권력 기구로 삼았다.- 초기 무신들 중 경대승은 신변 보호를 위해 도방이라는 사병 조직을 만들었다. 2. 최씨 무신정권최충헌- 봉사 10조를 올려 시정 개혁을 건의- 국정 총괄 기구인 교정도감 설치- 도방 확대 설치최우- 서방(문신자문기구)와 정방(인사 행정 담당) 설치- 삼별초 설치 > 군사적 기반 3. 무신정권 반란 사건- 서경 유수 조위총이 무신정권을 타도하고자 난을 일으켰다.- 망이·망소이가 가혹한 수탈에 저항하며 공주 명학소에서 봉기하였다.- 김사미와 효심이 신라 부흥을 표방하여 경상도 지역에서 난을 일으켰다.- 만적이 신분 해방 운동을 일으켰다. 4. 몽..

한국사 2025.02.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