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사

한국사 고려시대 태조~현종 요점정리

study-on 2025. 2. 14. 20:19

1. 태조 왕건

호족 정책 - 혼인 정책: 유력 호족을 외척으로 삼음
- 사성 정책: 호족에게 왕씨 성을 하사
- 역분전 지급: 종로에 따라서 차등 지급
- 기인 제도: 향리의 자제를 개성에 인질로 잡아둠
- 사심관 제도: 지방의 유력자를 사심관으로 임명하여 지방의 호족인 향리를 통제
외교 정책 - 북진 정책: 청천강에서 영흥까지 영토를 확장
- 서경 중시: 서경을 북진 정책의 전진 기지로 삼음
- 거란 천시: 발해를 멸망시킨 나라라고 하여 천시함(만부교 사건)
민생 정책 - 취민유도: 세율을 1/10으로 정함
- 흑창 설치: 빈민구제기구 > 성종 때 의창으로 발전
통치 규범 - 정계: 신하의 예의와 도리를 밝힌 책
- 계백료서: 관리의 규범을 제시
- 훈요 10조: 후대의 왕이 지켜야 할 정책의 방향 제시

 

2. 혜종 정종

- 혜종: 왕위 계승을 둘러싼 왕규의 난이 일어났다.

- 정종: 거란의 침입에 대비해 광군을 설치하였다.

 

3. 광종

집권 1기 - 광덕 연호: 즉위년에 덕을 밝게 비춘다는 의미의 광덕 연호를 사용
집권 2기 - 노비안검법: 억울하게 노비가 된 자를 검사하여 해방
> 양인의 수 증가, 국가 재정 확충, 호족 세력 약화

- 과거제: 쌍기의 건의로 시행
> 신진 인사 등용, 신구 세력 교체

- 관리의 공복 제정: 복색을 4등급으로 구분
> 위계 질서를 확립
집권 3기 - 준풍 연호 사용
- 호족 숙청
- 제위보 설치: 빈민 구호와 질병 치료 의료 기관

 

4. 경종

- 인품과 공복을 기준으로 전/현직 관리에게 전지와 시지를 지급하는 시정 전시과가 시행되었다.

 

5. 성종

통치 체제 - 최승로의 시무 28조: 성종에게 최승로가 상소하여 유교 정치 이념을 제도화
- 2성 6부의 중앙 관제 마련
- 전국에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 파견
- 향리제: 지방 세력 통제
유교 강화
불교 억제
- 국자감 설치: 개경 최고의 교육 기관
- 12목에 향교 설치: 경학박사, 의학박사 파견
- 불교 억제: 연등회 축소, 팔관회 폐지
사회/경제 정책 - 흑창 계승 > 의창 설치
- 건원중보: 최초의 철전
- 상평창: 물가 조절 기관

 

6. 거란의 침입

1차 침입 - 소손녕의 80만 대군 침입 > 서희의 외교 담판 > 강동 6주 획득
강조의 변 - 강조 > 목종 시해, 현종 옹립
2차 침입 - 강조의 변을 구실로 40만 대군 침입 > 개경 함락 < 현종이 나주로 피난
- 흥화진에서 양규의 활약
- 초조대장경 조판 시작
3차 침입 - 소배압의 10만 대군 침입 > 강감찬의 귀주 대첩 > 개경 나성 축조

[참고 자료]

https://www.cosmoshistory.com/main.html