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태조 왕건
호족 정책 | - 혼인 정책: 유력 호족을 외척으로 삼음 - 사성 정책: 호족에게 왕씨 성을 하사 - 역분전 지급: 종로에 따라서 차등 지급 - 기인 제도: 향리의 자제를 개성에 인질로 잡아둠 - 사심관 제도: 지방의 유력자를 사심관으로 임명하여 지방의 호족인 향리를 통제 |
외교 정책 | - 북진 정책: 청천강에서 영흥까지 영토를 확장 - 서경 중시: 서경을 북진 정책의 전진 기지로 삼음 - 거란 천시: 발해를 멸망시킨 나라라고 하여 천시함(만부교 사건) |
민생 정책 | - 취민유도: 세율을 1/10으로 정함 - 흑창 설치: 빈민구제기구 > 성종 때 의창으로 발전 |
통치 규범 | - 정계: 신하의 예의와 도리를 밝힌 책 - 계백료서: 관리의 규범을 제시 - 훈요 10조: 후대의 왕이 지켜야 할 정책의 방향 제시 |
2. 혜종 정종
- 혜종: 왕위 계승을 둘러싼 왕규의 난이 일어났다.
- 정종: 거란의 침입에 대비해 광군을 설치하였다.
3. 광종
집권 1기 | - 광덕 연호: 즉위년에 덕을 밝게 비춘다는 의미의 광덕 연호를 사용 |
집권 2기 | - 노비안검법: 억울하게 노비가 된 자를 검사하여 해방 > 양인의 수 증가, 국가 재정 확충, 호족 세력 약화 - 과거제: 쌍기의 건의로 시행 > 신진 인사 등용, 신구 세력 교체 - 관리의 공복 제정: 복색을 4등급으로 구분 > 위계 질서를 확립 |
집권 3기 | - 준풍 연호 사용 - 호족 숙청 - 제위보 설치: 빈민 구호와 질병 치료 의료 기관 |
4. 경종
- 인품과 공복을 기준으로 전/현직 관리에게 전지와 시지를 지급하는 시정 전시과가 시행되었다.
5. 성종
통치 체제 | - 최승로의 시무 28조: 성종에게 최승로가 상소하여 유교 정치 이념을 제도화 - 2성 6부의 중앙 관제 마련 - 전국에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 파견 - 향리제: 지방 세력 통제 |
유교 강화 불교 억제 |
- 국자감 설치: 개경 최고의 교육 기관 - 12목에 향교 설치: 경학박사, 의학박사 파견 - 불교 억제: 연등회 축소, 팔관회 폐지 |
사회/경제 정책 | - 흑창 계승 > 의창 설치 - 건원중보: 최초의 철전 - 상평창: 물가 조절 기관 |
6. 거란의 침입
1차 침입 | - 소손녕의 80만 대군 침입 > 서희의 외교 담판 > 강동 6주 획득 |
강조의 변 | - 강조 > 목종 시해, 현종 옹립 |
2차 침입 | - 강조의 변을 구실로 40만 대군 침입 > 개경 함락 < 현종이 나주로 피난 - 흥화진에서 양규의 활약 - 초조대장경 조판 시작 |
3차 침입 | - 소배압의 10만 대군 침입 > 강감찬의 귀주 대첩 > 개경 나성 축조 |
[참고 자료]
'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사 고려시대 무신정권 요점정리 (0) | 2025.02.14 |
---|---|
한국사 고려시대 문벌귀족 요점정리 (0) | 2025.02.14 |
한국사 신라 요점정리 (1) | 2025.02.05 |
한국사 백제 요점정리 (0) | 2025.02.05 |
한국사 고구려 요점정리 (0) | 2025.02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