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사

한국사 조선시대 학문 요점정리

study-on 2025. 2. 15. 22:05

1. 성리학

남명 조식 - 경상 우도 중심으로 활동 > 동인 > 북인으로 계승
- 학문의 실천성 강조 > 곽재우, 정인홍 등 의병장 배출
퇴계 이황 - 경상 좌도 중심으로 활동 > 동인 > 남인으로 계승
- 주리론: 근본적이고 이상주의적 사상
- 전습록변을 통해 양명학 비판
- 군주의 도를 조식으로 쉽게 설명한 성학십도 저술
- 주자의 사상을 총정리한 주자서절요 저술 > 일본 전래 > 일본 성리학 발달에 영향
율곡 이이 - 경기 중심으로 활동 > 서인으로 계승
- 주기론: 현실 정치 참여, 경험적 현실 중시
- 수미법, 십만양병설 등 사회 경장론 주장
- 신하가 군주를 집요하게 가르쳐 기질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성학집요 저술
- 왕도 정치의 이상을 문답 형식으로 서술한 동호문답 저술
- 성리학을 처음 배우는 학도들의 입문서인 격몽요결 저술
우암 송시열 - 노론의 영수
- 문집으로 송자대전을 남김
- 효종에게 기축봉사를 올려 명에 대한 의리 강조 > 북벌 운동 주도
- 성리학 절대화 > 윤휴와 박세당을 사문난적으로 공격
윤휴 - 남인으로 예송 논쟁에 적극 참여해 송시열과 대립
- 성리학의 상대화 > 중용주해 저술
- 숙종 때 북벌 주장, 경신환국 때 사사됨
박세당 - 성리학의 상대화 > 사변록 저술
- 담배, 인삼 등 상품작물의 재배법을 소개한 색경 저술
하곡 정제두 - 소론 출신 양명학자들과 강화 학파 형성
> 양반제 폐지 등의 성리학 비판
호락 논쟁 - 18세기 노론의 심성 논쟁
- 호론: 북벌론 정당화 > 위정척사 사상에 영향
- 낙론: 북학론의 바탕 > 개화 사상에 영향

 

2. 실학(농업 중심)

반계 유형원 - 균전론
: 관리, 선비, 농민 등 신분에 따라 차등 있게 토지 재분배

- 반계수록
성호 이익 - 한전론
: 생계에 필요한 최소한의 토지인 영업전 설정
> 영업전 매매 금지 > 영업전 외 토지 매매 허용

- 6좀론

- 폐전론
: 화폐의 폐단 지적

- 성호사설, 곽우록
다산 정약용 - 여전론
: 마을 단위의 토지 분배와 공동 경작
> 여장이 노동량에 따라서 차등 분배

- 오학론
: 성리학, 훈고학, 문장학, 과거학, 술수학의 다섯 학문의 폐단 비판

- 기예론
: 기술 개발 강조
: 거중기, 한강 배다리 설계

- 목민심서, 경세유표, 흠흠신서, 마과회통

 

3. 실학(수공업 중심)

농암 유수원 - 우서
: 상공업 진흥을 위해 사, 농, 공, 상의 직업적 평등 주장
담헌 홍대용 - 의산문답
: 실옹과 허자의 문답형식을 빌어 자전설과 무한우주론 주장

- 혼천의 제작
연암 박지원 - 열하일기
- 과농소초
- 양반전, 허생전 > 양반의 허례와 무능 비판
초정 박제가 - 북학의
: 재물을 우물에 비유 > 소비 권장
: 청의 문물 적극 수용 주장
: 수레와 선박의 이용 주장

[참고 자료]

https://www.cosmoshistory.com/main.html