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사
한국사 조선시대 학문 요점정리
study-on
2025. 2. 15. 22:05
1. 성리학
남명 조식 | - 경상 우도 중심으로 활동 > 동인 > 북인으로 계승 - 학문의 실천성 강조 > 곽재우, 정인홍 등 의병장 배출 |
퇴계 이황 | - 경상 좌도 중심으로 활동 > 동인 > 남인으로 계승 - 주리론: 근본적이고 이상주의적 사상 - 전습록변을 통해 양명학 비판 - 군주의 도를 조식으로 쉽게 설명한 성학십도 저술 - 주자의 사상을 총정리한 주자서절요 저술 > 일본 전래 > 일본 성리학 발달에 영향 |
율곡 이이 | - 경기 중심으로 활동 > 서인으로 계승 - 주기론: 현실 정치 참여, 경험적 현실 중시 - 수미법, 십만양병설 등 사회 경장론 주장 - 신하가 군주를 집요하게 가르쳐 기질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성학집요 저술 - 왕도 정치의 이상을 문답 형식으로 서술한 동호문답 저술 - 성리학을 처음 배우는 학도들의 입문서인 격몽요결 저술 |
우암 송시열 | - 노론의 영수 - 문집으로 송자대전을 남김 - 효종에게 기축봉사를 올려 명에 대한 의리 강조 > 북벌 운동 주도 - 성리학 절대화 > 윤휴와 박세당을 사문난적으로 공격 |
윤휴 | - 남인으로 예송 논쟁에 적극 참여해 송시열과 대립 - 성리학의 상대화 > 중용주해 저술 - 숙종 때 북벌 주장, 경신환국 때 사사됨 |
박세당 | - 성리학의 상대화 > 사변록 저술 - 담배, 인삼 등 상품작물의 재배법을 소개한 색경 저술 |
하곡 정제두 | - 소론 출신 양명학자들과 강화 학파 형성 > 양반제 폐지 등의 성리학 비판 |
호락 논쟁 | - 18세기 노론의 심성 논쟁 - 호론: 북벌론 정당화 > 위정척사 사상에 영향 - 낙론: 북학론의 바탕 > 개화 사상에 영향 |
2. 실학(농업 중심)
반계 유형원 | - 균전론 : 관리, 선비, 농민 등 신분에 따라 차등 있게 토지 재분배 - 반계수록 |
성호 이익 | - 한전론 : 생계에 필요한 최소한의 토지인 영업전 설정 > 영업전 매매 금지 > 영업전 외 토지 매매 허용 - 6좀론 - 폐전론 : 화폐의 폐단 지적 - 성호사설, 곽우록 |
다산 정약용 | - 여전론 : 마을 단위의 토지 분배와 공동 경작 > 여장이 노동량에 따라서 차등 분배 - 오학론 : 성리학, 훈고학, 문장학, 과거학, 술수학의 다섯 학문의 폐단 비판 - 기예론 : 기술 개발 강조 : 거중기, 한강 배다리 설계 - 목민심서, 경세유표, 흠흠신서, 마과회통 |
3. 실학(수공업 중심)
농암 유수원 | - 우서 : 상공업 진흥을 위해 사, 농, 공, 상의 직업적 평등 주장 |
담헌 홍대용 | - 의산문답 : 실옹과 허자의 문답형식을 빌어 자전설과 무한우주론 주장 - 혼천의 제작 |
연암 박지원 | - 열하일기 - 과농소초 - 양반전, 허생전 > 양반의 허례와 무능 비판 |
초정 박제가 | - 북학의 : 재물을 우물에 비유 > 소비 권장 : 청의 문물 적극 수용 주장 : 수레와 선박의 이용 주장 |
[참고 자료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