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사
한국사 조선시대 통치 제도 요점정리
study-on
2025. 2. 15. 20:19
1. 중앙 통치 제도
- 최고 정책 결정 기관인 의정부는 영의정, 좌의정, 우의정의 3정승 합의 체제로 운영되었다.
- 의정부 아래 관리의 인사를 담당하는 이조, 국가의 재정을 담당하는 호조, 외교와 과거 시험을 관장하는 예조 등의 행정을 집행하는 5조를 두었다.
- 태조는 6조의 업무를 국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6조 직계제를 처음으로 실시하였다.
- 세종은 6조의 업무를 의정부를 거쳐 국왕에게 보고하는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하였다.
- 세조는 왕권 강화를 위해 6조 직계제를 부활시켰다.
의정부 | - 재상 합의제 - 국정 총괄 |
승정원 | - 왕의 비서 기관 - 왕명 출납 |
의금부 | - 왕의 직속 사법 기구 - 중요 범죄 담당 |
사헌부 | - 관리 감찰 - 풍속 교정 - 백성의 억울함 해소 |
사간원 | - 정사 논박 - 임금에 간언 - 관료의 규찰 및 탄핵 |
홍문관 | - 왕의 자문 기관 - 경연 담당 - 서적 관리 - 옥당이라고 불림 |
한성부 | - 수도 한양의 행정과 치안 담당 |
춘추관 | - 역사서 편찬 및 보관 |
6조 | - 이조, 호조, 예조, 병조, 형조, 공조 |
대간 | - 사헌부 + 사간원 - 서경, 간쟁, 봉박 |
삼사 | - 사헌부, 사간원, 홍문관 |
2. 비변사
설치 | - 삼포왜란을 계기로 처음 설치 |
상설 기구화 | - 을묘왜변을 계기로 상설 기구화 |
핵심 기구화 | - 임진왜란 이후에 참여 구성원 확대 > 의정부 6조 체제 유명무실화 > 세도정치 시기에 세도 가문이 비변사 장악 > 흥성대원군 때 폐지 |
3. 지방 통치 조직
- 지방 행정 체제는 8도로 구성되어 있으며, 각 도에 관찰사가 파견되었다.
- 8도에 파견된 관찰사는 감사, 도백으로도 불렸으며, 수령을 지휘 및 감독하고 도내 군사를 지휘하였다.
- 8도 아래의 모든 부/목/군/현에는 수령이 파견되었다.
관찰사 | - 별칭: 감사, 도백 - 권한: 수령 지휘 감독, 도내 군사 지휘 - 특징: 감영에 상주 - 임기: 360일 |
수령 (지방관) |
- 별칭: 사또, 원님 - 권한: 왕의 대리인으로 행정, 사법, 군사권 행사 - 특징: 상피제 적용 - 임기: 1,800일 |
향리 | - 6방 소속, 무보수 명예직 - 수령의 행정 실무를 보좌 - 단안이라는 명부에 등재 |
경재소 | - 서울에 설치 - 지방 출신의 중앙 고관 임명 > 유향소 통제 |
유향소 | - 조직: 지방 양반 - 성격: 향촌의 자치 기구 - 임원: 좌수, 별감 - 역할: 수령 보좌, 향리 규찰, 풍속 교정 |
4. 군사 제도
- 조선 전기
중앙군 | [5위] - 업무: 궁궐과 서울 수비 - 구성: 정군 + 갑사 + 특수병 |
지방군 | - 영진군 : 각 도의 요새지에 영, 진 설치 : 영, 진에 영군과 진군 배치 - 잡색군 : 군역을 지지 않는 향리, 노비 등으로 편성된 예비군 |
방어체제 | - 진관 체제 : 지역 단위의 방어 : 소규모 침략 대비 : 수령이 지휘 - 제승방략 체제 : 을묘왜변 이후 실시 : 유사시 한 곳으로 병력 집결 : 중앙에서 파견된 장수가 지휘 |
- 조선 후기
중앙군 | [5군영] - 훈련도감: 임진왜란 중에서 유성룡의 건의로 설치 : 삼수병 편제 : 급료를 받는 직업 군인, 상비군 - 어영청, 충용청, 수어청, 금위영 |
지방군 | - 속오군 : 임직왜란 중 유성룡의 건의로 실시 : 양반에서부터 노비에 이르기까지 편제 - 평상시 생업에 종사, 유사시 동원 |
방어체제 | - 진관 체제 복구 |
5. 관리 등용 제도
- 조선시대 관리 선발 제도로 과거와 2품 이상 고관의 자제를 임용하는 음서, 추천을 받아서 관리로 임용하는 천거, 하급 관리 채용을 위한 취재가 있었다.
- 과거는 문신을 선발하는 문과, 무신을 선발하는 무과, 기술관을 선발하는 잡과로 이루어졌다.
6. 교육 기관
국립 | - 성균관 : 조선 시대 최고 교육 기관 : 소과에 합격한 생원, 진사가 입학 : 대성전에서 성현의 제사를 지냄 - 4부 학당 : 중등 교육 기관 : 수도 한양에 위치 - 향교 : 전국의 부, 목, 군, 현에 하나씩 설치 > 지방 관리와 서민의 자제 교육 : 고을 크기에 따라서 정원 차이를 둠 : 중앙에서 교수나 훈도가 파견 : 대성전에서 성현의 제사를 지냄 |
사립 | - 서원 : 풍기 군수 주세붕이 백운동 서원 건립 > 소수 서원으로 개칭 : 국왕으로부터 현판과 함께 노비, 서적 등을 받음(사액 서원) : 지방의 사림이 설립 : 사당에서 우리나라 선현에 대해 제사를 지냄 - 서당 : 초등 교육 기관, 전국 곳곳에 존재 : 천자문, 동몽선습 등 교육 |
[참고 자료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