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사

한국사 고려시대 문화 요점정리

study-on 2025. 2. 15. 15:48

1. 교육 기관

관학 - 국자감(성종): 개경에 설치된 고려의 최고 교육 기관
- 향교(성종): 지방 관리나 서민의 자제 입학
사학 - 9재 학당: 해동 공자라고 불린 최충이 설립, 문헌공도라고 불림
- 사학 12도: 문헌공도를 포함한 사학 12무리 번성
관학 진흥책 - 서적포(숙종): 서적의 보관 및 간행
- 7재(예종): 사학에 대응하고자 국자감에 전문 강좌 7재 개설
- 양현고(예종): 장학 기금 마련을 위해 설치
- 청연각/보문각(예종): 도서관 겸 학문 연구소
- 경사 6학 정비(인종): 경사 6학을 중심으로 국자감 교육 제도 정비

 

- 충선왕: 국자감을 성균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.

- 공민왕: 성균관을 개편하였다. (이색을 성균관 대사성에 임명, 기술학부를 폐지하고 순수 유교 교육 시행)

 

2. 성리학

- 원 간섭기에 인간의 심성과 우주의 원리를 탐구하는 성리학이 안향에 의해 전래되었다.

- 이제현은 충선왕이 설치한 만권당에서 원의 유학자들과 교류하면서 성리학을 배워서 돌아왔다.

- 정도전, 정몽주 등의 신진사대부는 성리학을 이념적인 기념으로 삼았다.

 

3. 역사서

김부식
[삼국사기]
- 현존하는 최고의 역사서
- 기전체 형식으로 서술
-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
- 신라의 역사를 상대/중대/하대로 구분
이규보
[동명왕편]
- 고구려 동명왕의 일대기를 서사시 형태로 서술
- 고구려 계승 의식, 민족적 자주 의식 반영
각훈
[해동고승전]
- 삼국시대 승려들의 전기 수록
일연
[삼국유사]
- 최초로 단군 신화를 수록
- 불교사 중심으로 민간 설화 수록
- 신라의 역사를 상고/중고/하고로 구분
이승휴
[제왕운기]
- 단군 신화 수록
- 서사시 형태로 서술
- 발해사를 최초로 우리 역사로 기록
이제현
[사략]
- 성리학적 유교 사관 반영
- 전통과 명분 중시

[참고 자료]

https://www.cosmoshistory.com/main.html